티스토리 뷰

반응형

OS 무료 백업 및 복원 방법 (OS Free Backup & Restore)

 

 OS 무료 백업 및 복원 방법 (OS Free Backup & Restore)

 

리눅스를 사용하는 장점, 대부분의 프로그램이 다 공짜라는 것입니다. 별도의 유료 프로그램 없이 전체 디스크 또는 개별 파티션을 백업하고 압축하는 방법을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사용할 프로그램은 dc3dd라는 프로그램입니다.

주로 포렌식용 이미지를 생성하는 목적으로 많이 사용되지만 백업하는 목적으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dd라고 많이 들어보셨을 텐데요, dd보다 별도의 추가 옵션 없이 imaging 진행도를 보여주는 프로그램입니다.

 

설치방법

 

무료-OS-백업-및-복원-방법(썸네일)

 

Kali Linux에는 기본적으로 dd, dc3dd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습니다. 압축에 사용할 프로그램은 zstd이며 설치가 필요합니다.

sudo apt-get update -y
sudo apt-get install dc3dd zstd

명령어를 사용하여 패키지를 설치할 수 있습니다.

 

백업 방법

 

dc3dd 사용 방법

 

먼저 백업할 디스크나 파티션의 장치명을 확인하기 위해서 lsblk 명령어 또는 sudo fdisk -l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fdisk -l 명령어 사용 시 장치의 이름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리눅스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의 경우 fdisk -l 명령어를 사용하여 장치명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제 경우 Windows 10 Pro가 설치된 Disk는 /dev/sda입니다. 사용하는 컴퓨터마다 장치명이 다르니 잘 확인하세요.

sudo dc3dd if=/dev/sda 명령어 뒤에 파이프(|)를 사용하여 pzstd 명령어를 추가하여 바로 압축하게 됩니다.
sudo dc3dd if=장치명 | pzstd -o filename.zst

pzstd -o 뒤에 백업 파일이 저장될 경로 및 파일명을 입력하시면 됩니다. 알아보기 쉽게 zst와 같은 확장자명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백업 결과 확인

 

dc3dd 백업 결과(압축률)

 

SSD 256 GB Disk 전체를 백업하였고 속도는 127 M/s 정도로 확인됩니다. 시간은 약 20분 정도 걸린 것 같습니다.

dd 명령어 또는 dc3dd 명령어만을 사용하면 SSD 256GB 용량과 같거나 더욱 큰 용량의 백업 이미지 파일이 생성됩니다. 그러나 pzstd로 압축하였기 때문에  159GB의 백업 파일이 생성되었습니다.

256,060,514,304 bytes의 66.5%인 170,281,116,646 bytes(159GB)로 압축되었습니다.

 

Windows To Go USB 백업 방법(Windows To Go 백업)

 

Windows To Go가 설치된 USB 역시 같은 방법으로 백업할 수 있습니다. 이번에는 lsblk 명령어 대신 sudo fdisk -l 명령어를 사용하여 장치명을 확인하고 백업을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sudo fdisk -l 명령어

 

sudo fdisk -l 명령어를 입력하면 Disk model에서 그 이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Windows To Go가 설치된 Extrem Pro 이름을 확인하고 그 Disk 이름을 확인합니다.

Disklable type: gpt의 경우 Booting과 관련된 Windows Boot Manager가 EFI System 파티션에 들어가게 됩니다. 따라서 별도로 파티션만 백업하는 경우 EFI 파티션도 추가로 백업하셔야 합니다.

Disk 전체를 백업하는 경우 EFI System 파티션도 자동으로 백업되기 때문에 복원 시 문제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dc3dd

 

128GB USB는 최종적으로 약 24.8GB의 백업파일로 저장되었습니다. 이 정도 압축률이면 괜찮은 것 같습니다.

 

압축 비교

 

압축비교

 

pzstd 명령어 없이 dc3dd 또는 dd 명령어로 dd image로 생성하면 Disk 용량과 거의 같은 파일 용량을 차지하게 됩니다.
Rescuezilla 표준 압축으로 생성했을 때는 168GB, pzstd로 압축했을 때는 158GB로 파일이 생성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백업 이미지 복원하기

 

lsblk나 sudo fdisk -l 명령어를 사용하여 복원한 장치명을 꼭 확인하세요. 만약 장치명을 잘못 입력하는 경우 엉뚱한 Disk에 복원되어 자료가 손상될 수 있습니다. 또한 부팅시 장치명이 바뀔 수 있습니다. 꼭 확인하시고 진행하세요.(주의)

pzstd로 압축을 하였기 때문에 복원하는 경우 pzstd -d -c 옵션을 먼저 사용해야 합니다.

pzstd -d /path/backupfile.zst -c | sudo dc3dd of=/device명

제 경우 운영체제는 /dev/sda에 설치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복구할 때에는 sudo dc3dd of=/dev/sda 로 입력하게 됩니다.
여러분의 경우 장치명이 다를 수 있으니 꼭 확인하시고 입력하세요.(주의)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