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휴대전화에 연결된 IP 확인 | IP 추적 및 DB 관리법 (recon-ng)
휴대폰에 연결된 외부 접속 IP를 확인하고 싶다면 먼저 공유기의 "네트워크 도구" - "Netstat' - "Netstat-nat"를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습니다.
IP를 복사해서 IP 부분만 추출하는 방법은 아래쪽에 '더 보기'를 눌러서 이전 글 "IP 확인 / IP 추적 프로그램"을 먼저 확인하시고 다시 돌아오시면 됩니다.
(Kali Linux를 설치하는 방법 역시 '더 보기' 또는 제 블로그에서 검색해서 확인하시면 됩니다.)
다소 복잡하게 보이지만 기본적인 Linux 사용법, Kali Linux , recon-ng 프로그램에 대해서 어느 정도 알고 있는 사용자라면 쉽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2021.07.16 - [Computer] - IP 확인 / IP 추적 프로그램
IP 확인 / IP 추적 프로그램
IP 확인 / IP 추적 프로그램 Windows 컴퓨터에서 외부와 연결된 IP를 확인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명령어로 netstat -ano | findstr "ESTABLISHED"가 있습니다. 이때 출력되는 remote IP를 각각 whois 홈페이지에서..
superroot.tistory.com
2020.10.21 - [Computer] - KALI LINUX(GUI) ON WSL2 완벽 설치 (총정리)
KALI LINUX(GUI) ON WSL2 완벽 설치 (총정리)
KALI LINUX GUI ON WSL2 완벽 설치 (총정리) 보안점검 및 해킹 연구를 위해 주로 사용되는 KALI LINUX를 기존에는 별도의 Virtual Machine에 설치하여 사용했지만, Windows10 WSL2가 지원되면서 Microsoft Store..
superroot.tistory.com
휴대폰에 연결된 외부 IP 확인법
휴대폰이 연결된 Wifi 공유기의 "네트워크 도구" - "Netstat"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Netstat-nat를 선택하고, By source IP, 대상 IP에서는 휴대전화의 IP를 선택하고, "Netstat" 버튼을 누르면 위 사진처럼 "State"가 리스트 형태로 출력됩니다. State에 "ESTABLISHED"라고 나오는 리스트가 활성 연결 상태입니다.
빨간색 사각형으로 하이라이트 한 부분을 전체 드래그하여 복사하시면 됩니다. 이후 Destination Address에 있는 IP만 추출하여 ip.txt 파일로 저장을 해야 하는데 이 부분은 주로 Linux에서 추출을 합니다. 위에 '더보기' 이전 글을 먼저 확인하세요.
IP만 추출하기 위해 사용된 shell code 입니다.
awk '{print $3}' ip_src.txt | grep -E -o "(25[0-5]|2[0-4][0-9]|[01]?[0-9][0-9]?)\.(25[0-5]|2[0-4][0-9]|[01]?[0-9][0-9]?)\.(25[0-5]|2[0-4][0-9]|[01]?[0-9][0-9]?)\.(25[0-5]|2[0-4][0-9]|[01]?[0-9][0-9]?)"| sed -e s/:443//g -e s/:80//g
IP 추적 및 DB 관리법 (recon-ng 활용)
휴대전화의 경우 사용하는 앱 및 시간에 따라 연결된 외부 IP가 상당히 많으며 자주 변화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출력되는 IP 및 이름을 각각 엑셀에 정리해서 관리하는 방법도 있지만 중복되는 IP , 매번 IP 확인 및 UPDATE 하는 것이 불편하기도 합니다.
Kali Linux에 기본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recon-ng라는 OSINT Framework를 사용하면 DB를 활용하여 이런 IP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IP List import
ip.txt 파일에 저장된 list를 import 시키기 위해 'modules load import/list' 명령어를 입력해서 모듈을 설치합니다.
'info' 명령어를 사용하면 해당 모듈의 options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서 COLUMN에는 ip_address, FILENAME에는 ip.txt 파일의 경로, TABLE은 hosts라는 값을 넣어주면 됩니다.
options에 제대로 값이 입력되었다면 마지막으로 'run' 명령어를 실행합니다.
options set COLUMN ip_address
options set TABLE hosts
options set FILENAME 경로/ip.txt
run
'show hosts'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그러면 아래 이미지처럼 ip.txt 파일에 저장되어 있던 ip address가 ip_address COLUMN에 자동으로 입력됩니다.
이 예시에 사용된 모듈은 'import/list' 모듈과 'recon/hosts-hosts/ipinfodb' 모듈이 사용되었습니다.
'import/list' 모듈은 marketplaces install import/list 명령어로 바로 설치 가능하지만 'recon/hosts-hosts/ipinfodb' 모듈의 경우, API key를 미리 추가 해주고 설치해야 합니다.
API key 발급을 위해 ipinfodb 웹 사이트에 가입해야 하며, keys add ipinfodb_api 발급받은 key 값을 추가하시면 됩니다.
이때 marketplaces info recon/hosts-hosts/ipinfodb 명령어를 입력하면, required_keys | ['ipinfodb_api'] 와 같이 기본 이름['ipinfodb_api']이 나와있습니다.
다른 API key가 필요한 모듈을 설치하는 경우, info를 입력해서 미리 API key의 Default 이름을 먼저 확인하시고 Key를 추가해서 사용하시면 됩니다.
modules load ipinfodb 명령어를 입력하고, run을 입력해서 해당 모듈을 실행합니다.
API Key가 없으면 정상적인 실행이 안됩니다.
자동적으로 지역, 국가, 위도, 경도와 같은 정보가 자동으로 입력됩니다.
host COLUMN에는 공란으로 되어 있는데, 이 부분은 db query UPDATE 명령어를 활용하여 별도로 추가도 가능합니다.
recon-ng DB 활용법
recon-ng의 DB를 사용하게 되면, 원하는 결과만 검색하거나 따로 추출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hosts TABLE에서 ip_address COLUMN만 확인하거나 ip_address와 국가만 확인하거나 ip_address, country, region COLUMN만 추출할 수 있습니다. 응용하기 나름이겠지요?
recon-ng DB에서 특정글자 찾기 (Search a specific string on recon-ng's DB)
MySQL를 사용해보셨다면 db query 명령어 뒤에 MySQL 명령어를 그대로 입력하면 됩니다.
특정 IP를 찾기 위해서 db query SELECT * FROM hosts WHERE ip_address = 'IP' ;
입력해서 해당 IP만 출력시킬 수 있습니다. IP뿐만 아니라 특정 단어를 넣어서 용도에 맞는 결과를 출력시킬 수 있습니다.
recon-ng DB에 내용 추가 및 수정하기 (db query UPDATE 사용법)
db query UPDATE hosts SET host = 'Google' WHERE region = 'Mountain View, California' ;
명령어를 입력하면, region COLUMN에서 Mountain View, California'과 일치하는 모든 host COLUMN에 'Google'이라는 값을 입력합니다.
recon-ng에서 whois와 같은 shell 명령어를 사용하려면 shell이라는 명령어 다음에 기존에 사용하던 리눅스 명령어를 입력하면 됩니다.
동일한 방법으로 Alibaba라는 값을 입력해줬습니다.
빈 공간도 같은 명령어를 사용해서 IP 주소 및 이름만 바꿔주면 됩니다.
기존에 사용한 명령어를 다시 사용하려면 키보드의 화살표(TOP, 위쪽)를 누르면 이전에 입력한 명령어를 다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기존 명령어를 불러와서 변경 부분만 수정하고 바로 ENTER를 누르시면 됩니다. 전부 처음부터 입력하려면 많이 불편하겠지요?
notes에 추가 정보를 update 했습니다.
나중에 추가로 IP를 추가하면 중복되는 IP는 무시되고, 추가되는 ip만 host에 등록됩니다.
관리하기 정말 편합니다. 한 번 recon-ng 활용해보세요.
'Comput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con-web jquery.min.js 404 error [Kali Linux] (0) | 2021.10.02 |
---|---|
Kali Linux - LibreOffice 한글 입력 방법 (2) | 2021.10.01 |
DmitriRender 구매 전 알아야 할 내용 / 드미트리 렌더 주의사항 (1) | 2021.09.30 |
수상한 IP 점검 방법 / IP 추적 방법(3) (1) | 2021.09.29 |
아마존 해킹 대응 및 예방법 (0) | 2021.07.27 |
해커의 협박 메일 대응 방법 / Hoax (0) | 2021.07.18 |
kex connection refused 10061 error (1) | 2021.07.17 |
IP 확인 / IP 추적 프로그램 (3) | 2021.07.16 |
- ftp server
- certutil
- PDF 가리기
- Kali Linux 활용법
- Affinity Photo 꿀팁
- Windows Pro 암호화
- Windows defender application guard
- iA Writer
- KEX Error
- netstat 사용법
- FREE OFFICE SOFTWARE
- 무료 동기화 프로그램
- FTP SERVER PORT FORWARDING
- Markdown Editor
- 1일1식
- PDF 문서 만들기
- IP 추적 프로그램
- 고추농사
- 폴더 암호화
- 티스토리챌린지
- 간헐적단식
- 무료 오피스 프로그램
- 김해맛집
- 전라북도 맛집
- 오블완
- 무료 데이터 복구
- 장유맛집
- pdf 비밀번호 설정
- Set Password for PDF
- 다이어트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