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DaVinci Resolve 17 자막파일 srt 만드는 법

DaVinci Resolve 17: 자막 파일 srt 만드는 법


자막을 직접 영상에 넣는 방식이 아닌 별도의 srt 파일을 만드는 법을 설명해드리겠습니다. 물론 만들어진 srt 파일을 기준으로 Rendering 단계에서 영상에 burn into Video 시킬 수 있습니다. 유튜브에 다국어 자막을 만드는 경우에도 유용하게 사용 할수 있는 기능입니다.







Timecode 수정


Start timecode 수정


기본적으로 다빈치 리졸브의 Start timecode는 01:00:00:00으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이 상태에서 자막을 만들게 되면 영상이 시작하고 1시간 넘어서부터 자막이 출력되게 됩니다. 따라서 start timecode를 00:00:00:00으로 만들어서 subtitle 작업을 해야 합니다.

기본 환경설정에서 User - Editing 메뉴 Start timecode에서 설정을 해두면 모든 project의 start timecode가 00:00:00:00 부터 시작됩니다.


Timelines에서 timecode 수정


편집 중이던 project에서 timecode를 수정해야 할 경우, Media Pool에 있는 Timeline 위에서 마우스 오른쪽 클릭하여 Timelines - Starting Timecode를 선택하여 수정할 수 있습니다.


Subtile Track 추가


Add Subtitle Track


Track 이름 근처에서 마우스 오른쪽 클릭하여 Add Subtitle Track을 선택합니다. 영상 위쪽으로 Subtitle Track이 생성되면 Track의 이름을 수정하여 주시고, 자막을 넣을 위치로 time indicator를 이동시킵니다.


자막 추가


Cation - Add New


Inspector 메뉴, Video - Caption에 "Add New"를 눌러서 자막을 생성하고 해당되는 자막을 입력합니다. "Prev", "Next"는 바로 앞, 뒤 자막으로 이동하는 메뉴입니다.


Caption - Style


"Style" 메뉴에서 자막의 Font, 위치, Drop Shadow, Stroke, Background 등을 설정하여 꾸며줄 수 있지만 Srt로 출력되는 자막 파일에는 이러한 속성값 적용 없이 timecode와 해당되는 자막만 출력이 됩니다. Style에서 적용한 자막은 Rendering setting에서 burn into video를 했을 경우, 영상에 자막 자체가 입혀지게 됩니다. 이때 적용됩니다.


Catption - Add New


자막이 필요한 장소로 이동하여 다시 "Add New"를 눌러서 쭉 자막을 입력합니다.

자막의 길이를 수정해야 할 경우, 생성된 자막의 끝 경계 부분을 클릭 & 드래그하여 자막이 표시되는 시간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Render Setting (자막)


Render Setting - Export subtitle


Export Video 설정 후, Subtitle settings를 클릭합니다. Format에서 "As a separate file", Export As "SRT"를 선택하면 영상과 함께 자막 파일 srt가 생성됩니다. Format에서 Burn into Video를 선택하게 되면 입력한 자막이 그대로 영상에 설정한 Style이 적용되어 입혀지게 됩니다. 필요에 따라 선택해서 사용하시면 됩니다. srt를 만들기 위해서는 As a separate file 옵션을 이용하시면 됩니다.






생성된 srt file


출력된 srt 파일


생성된 srt file을 편집기로 열어보면 자막의 순번과 timecode, 그리고 자막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빈치 리졸브에서 설정했던 폰트 등 속성은 전혀 생성된 srt에 적용되지 않습니다. 만약 timecode를 다빈치 리졸브 기본값이 01:00:00:00인 상태에서 자막 파일을 생성하시면 영상 재생 시 자막이 나오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자막이 안 나오는 경우, timecode를 맞춰줘야 합니다.


Burn into Video


Burn into Video


동영상 player에서 자막을 넣은 영상과 Burn into Video 상태를 서로 비교해 보았습니다. 아래 첫 사진은 srt 자막을 넣은 영상인데요 style에서 추가한 스웨거 Font가 적용되지 않았습니다. 두 번째 사진을 보시면 Burn into Video 옵션으로 영상 자체에 자막의 폰트까지 포함하여 렌더링 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기본 자막 Font


Burn into 자막


유튜브 다국어 자막


유튜브 다국어 자막


유튜브에서 영상 업로드 시 "언어 및 자막(CC)에 동영상 언어 및 자막 업로드 메뉴가 있습니다. 여기에서 한국어, 영어, 중국어 등 언어와 그에 매칭되는 SRT 파일을 업로드하여 간단하게 다국어 자막 기능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다빈치 리졸브에서 "Add Subtitle track"을 필요한 외국어 자막 수 대로 추가하여 각각 언어별 자막을 넣어서 제작할 수 있습니다.

자막 파일 srt export 하기 위해서는 Edit 메뉴에서 Export 시키고자 하는 자막 Track 이름이 나오는 부분에서 마우스 오른쪽 클릭하여 Export subtitle을 선택하시면 자막만 export 시킬 수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